공부/ISTQB

[ISTQB] 1.4 기초 테스트 프로세스

모카젤리 2014. 5. 27. 17:39


ISTQB CTFL Syllabus 2011


기초 테스트 프로세스

Fundamental Test Process




Terms

  • 확인 테스팅,Confirmation testing, 재테스팅 Re-testing

- 결함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는 지에 대해 확인하는 테스팅.

- 수정을 확인하기 위해 이 전에 실패한 테스트를 실행한다.

  • 완료 조건 Exit critetia

- 절차가 공식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허가할 목적으로, 이해 관계자들이 합의한 일반적이고 특정한 조건의 집합.

- 완료 조건의 목적은 아직 종료하지 못한 미해결의 일부 업무가 여전히 존재함에도 완료한 것으로 간주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 완료 조건은 언제 테스팅을 중지할 것인지에 대해 보고하고 계획하기 위해 사용된다.

  • 인시던트 Incident

- 테스팅 중 발생하여 조사가 요구되는 모든 이벤트.

  • 리그레션 테스팅 Regression testing

- 수정으로 인해 변경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영역에 새로운 결함이 유입되지 않았는지, 또한 기존에 숨어있던 결함이 노출되지 않았는 지 확인하기 위해 이전에 테스트된 프로그램을 (다시) 테스팅하는 것.

- 소프트웨어 혹은 실행환경이 변경되었을 때 수행한다.

  • 테스트 베이시스 Test basis

  • 테스트 상황 Test condition

  • 테스트 커버리지 Test coverage, 커버리지 Coverage

  • 테스트 데이터 Test data

  • 테스트 실행/수행 Test execution

  • 테스트 로그 Test log
  • 테스트 계획 Test plan

  • 테스트 절차 Test procedure

  • 테스트 정책 Test policy
  • 테스트 스위트 Test suite

  • 테스트 요약 보고서 Test summary report

  • 테스트웨어 Testware


출처 : http://dic.sten.or.kr


Background

  • 기본적인 테스트 프로세스 주요 활동

- 계획과 제어

- 분석과 설계

- 구현과 실행

- 완료조건 평가와 리포팅

- 테스트 마감 활동


1.4.1 테스트 계획과 제어

  • 테스트 계획

- 테스트의 목적을 정의하는 활동

- 목적과 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명세서 정의

  • 테스트 제어

- 계획과 실제 테스트의 진행사항을 비교하는 지속적인 활동


1.4.2 테스트 분석과 설계

  • 일반적인 테스트 목적을 명백한 상황과 케이스로 변환하는 활동

- 테스트 베이시스(요구사항, 무결성 수준 / 리스크 수준, 리스크 분석 리포트, 아키텍처, 설계, 인터페이스 사양 등) 리뷰

- 테스트 기준과 대상의 용의성 평가

- 테스트 아이템, 명세, 동작과 소프트웨어 구조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테스트 조건을 식별하고 우선순위 선정

- 하이레벨 테스트케이스 설계와 우선순위 선정

- 테스트 조건과 테스트케이스를 지원하는 필수 데이터 식별

- 테스트 환경 셋업 설계와 기타 요구 기반 시설 및 툴 식별

- 테스트 기준과 테스트 케이스 사이의 양방향 추적 생성


1.4.3 테스트 구현과 실행

  • 테스트케이스를 특별한 순서로 결합하고 테스트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테스트 절차와 스크립트를 명세화하는 활동

- 테스트케이스(테스트 데이터 식별 포함)를 마무리, 구현, 우선순위 선정

- 테스트 절차 개발과 우선순위 선정, 테스트 데이터 생성. 부가적으로 테스트 하네스(테스트 드라이버)를 준비하고, 자동화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 효율적인 테스트 수행을 위해 테스트 절차로부터 테스트 스위트 생성

- 테스트 환경이 올바르게 구축됐는 지 확인

- 테스트 베이시스와 테스트케이스 간 양방향 추적을 확인하고 업데이트

- 계획된 순서에 의거하여 수동 또는 테스트 실행도구로 테스트 절차 수행

- 테스트 수행 결과를 기록하고 테스트 중인 소프트웨어, 툴, 테스트웨어의 식별과 버전 기록

- 실제 결과와 예상 결과 비교

- 불일치하는 것을 인시던스로 보고하고, 원인을 입증하기 위해 분석 (e.g. 코드, 특정한 테스트 데이터, 문서, 테스트 수행 중의 실수나 결함)

- 각각의 불일치를 조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반복 

   (e.g. 확인테스팅 : 수정됐는 지 확인

           리그레션 테스팅 : 수정으로 인한 버그가 없는지, 변경되지 않은 부분에 수정으로 인한 버그가 없는 지 확인)


1.4.4 완료 조건 평가와 리포팅

  • 완료 조건 평가는 테스트 수행이 정의된 목적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는 활동

- 테스트 계획에서 명시된 완료 조건을 만족하는 지 테스트 로그 확인

- 추가적인 테스트가 필요한 지, 테스트 완료 조건을 수정해야 하는 지 평가

- 이해 관계자를 위한 테스트 요약 보고서 작성


1.4.2 테스트 마감 활동

  • 완료된 테스트 활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경험, 테스트웨어, 사실과 수치를 통합하는 활동

- e.g.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릴리즈될 때, 테스트 프로젝트가 완료 혹은 취소될 때, 계회된 모든 마일스톤이 달성됐거나 유지보수 활동이 완료됐을 때 발생.

- 예정된 결과물이 산출됐는 지 확인

- 인시던트 리포트를 종료하거나 오픈돼있는 변경 요구 항목 처리

- 시스템의 인수 문서화

- 나중에  재사용될 테스트웨어, 테스트 환경, 테스트 기반 설비를 마감하고 보관

- 유지보수기관에 테스트웨어 이관

- 이후 릴리즈나 프로젝트를 위하여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배운 교훈을 분석

- 테스트 성숙도 향상을 위해 수집된 정보 사용




2014/05/27 - [공부/ISTQB] - [ISTQB] 1.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