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ISTQB
[ISTQB] 1.5 테스팅의 심리학
모카젤리
2014. 5. 27. 17:43
ISTQB CTFL Syllabus 2011
테스팅의 심리학
The Psycology of Testing
Terms
- 오류추정 Error guessing
- 테스트 중인 컴포넌트나 시스템에서 유입된 오류의 결과로 어떤 결함이 발생할 것인지를 테스터의 경험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해당 결함만을 중점적으로 검출하는 테스트를 설계하는 테스트 설계 기법
- 독립성 Independence
- 객관적인 테스팅을 완수하기 위한 책임의 분리
Background
- 테스팅과 리뷰할 때의 사고방식은 개발할 때와는 다르다.
- 테스트의 책임을 테스터에게 분리할 시 개발에 노력을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되고, 훈련되고 전문적인 테스팅 리소스로부터 독립적인 관점을 제공받을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 일정 수준의 독립성은 테스터가 결함이나 장애를 찾는 데 효과적이다.
- 독립성 레벨(LOW→HIGH)
Lv.1 테스트 중인 소프트웨어의 작성자가 설계한 테스트
Lv.2 다른 사람이 설계한 테스트 (e.g. 개발팀 내)
Lv.3 다른 조직적인 그룹(독립적인 테스트팀)이나 테스트 전문가들(사용성·성능 테스트 전문가)이 설계한 테스트
Lv.4 다른 기관이나 회사(아웃소싱·외부 조직에 의한 인증)에 의해 설계된 테스트
- 사람들은 테스트 관리자나 다른 이해관계자가 설정해놓은 목표 (e.g. 결함을 찾거나 소프트웨어가 목적에 부합하는 지 확인)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다. → 테스팅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장애를 식별하는 것은 제품의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매우 건설적인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대상 제품이나 작성자를 비판하는 파괴적인 활동으로 간주된다. → 시스템의 장애를 찾는 일은 호기심, 전문적인 비판, 비판적인 시선, 세부사항에 대한 주의, 개발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에러 추정 기반의 경험을 필요로 한다.
- 결함, 장애 등이 건설적인 방법으로 의사소통될 때, 테스트, 분석가, 디자이너, 개발자 간의 감정 악화를 피할 수 있다.
- 테스터와 테스트 리더는 건설적인 방법으로 결함, 진행사항, 리스크 등의 사실정보를 의사소통하기 위해 좋은 대인관계 스킬이 필요하다.
- 결함 정보는 소프트웨어, 문서 작성자의 스킬을 향상할 수 있게 돕는다.
- 테스팅하는 동안 결함을 찾고 고치는 것은 추후 돈과 시간을 아껴주며, 리스크를 줄여준다.
- 커뮤니케이션, 테스터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
- 싸우기보다는 협력으로 시작한다.
- 더 좋은 품질 시스템의 공통적인 목표를 모두에게 상기시킨다.
- 제품에서 찾아낸 것에 대해 중립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방법으로 개발자에 대한 비평없이 전달한다. (e.g.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인시던스 리포트를 작성하여 찾아낸 것에 대해 리뷰)
-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왜 그렇게 반응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상호간 의사소통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이해했는 지 확인한다.
2014/05/27 - [공부/ISTQB] - [ISTQB] 1.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기초